2장: JavaScript 기본 문법
JavaScript의 기본 문법을 이해하는 것은 이 언어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첫걸음입니다. 이 장에서는 변수와 상수, 데이터 타입, 연산자 등의 JavaScript 기본 문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변수와 상수
JavaScript에서 변수를 선언할 때는 `var`, `let`, `const` 키워드를 사용합니다. 이들은 각각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 **var**: 함수 스코프를 가지며, 호이스팅이 발생합니다. 현재는 잘 사용되지 않습니다.
- **let**: 블록 스코프를 가지며, 변수 재할당이 가능합니다. 호이스팅이 발생하지만 초기화는 선언 이후에 이루어집니다.
- **const**: 블록 스코프를 가지며, 상수 선언에 사용됩니다. 변수 재할당이 불가능합니다.
var a = 10;
let b = 20;
const c = 30;
#### 데이터 타입
JavaScript는 동적 타이핑을 지원하며, 다양한 데이터 타입을 가집니다. 주요 데이터 타입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숫자(Number)**: 정수와 실수를 모두 포함합니다.
- **문자열(String)**: 텍스트 데이터를 나타냅니다. 작은따옴표('')나 큰따옴표("")를 사용하여 선언합니다.
- **불리언(Boolean)**: 참(true) 또는 거짓(false)을 나타냅니다.
- **null**: 의도적으로 비어 있는 값을 나타냅니다.
- **undefined**: 값이 할당되지 않은 변수를 나타냅니다.
- **객체(Object)**: 키-값 쌍의 집합으로, 복잡한 데이터 구조를 나타냅니다.
- **배열(Array)**: 순서가 있는 값의 집합으로, 배열 요소는 대괄호([])로 묶습니다.
let number = 5; // 숫자
let text = "Hello, World!"; // 문자열
let isAvailable = true; // 불리언
let emptyValue = null; // null
let notAssigned; // undefined
let person = { name: "John", age: 30 }; // 객체
let numbers = [1, 2, 3, 4, 5]; // 배열
#### 연산자
JavaScript에는 다양한 종류의 연산자가 있으며, 이를 통해 값을 계산하거나 비교할 수 있습니다.
- **산술 연산자**: +, -, *, /, %, ++, --
- **비교 연산자**: ==, ===, !=, !==, >, <, >=, <=
- **논리 연산자**: && (AND), || (OR), ! (NOT)
- **할당 연산자**: =, +=, -=, *=, /=, %=
- **문자열 연산자**: + (문자열 연결)
let x = 10;
let y = 5;
// 산술 연산자
let sum = x + y; // 15
let difference = x - y; // 5
let product = x * y; // 50
let quotient = x / y; // 2
let remainder = x % y; // 0
// 비교 연산자
let isEqual = x == y; // false
let isStrictEqual = x === y; // false
let isNotEqual = x != y; // true
let isGreater = x > y; // true
// 논리 연산자
let andResult = (x > 5) && (y < 10); // true
let orResult = (x < 5) || (y > 3); // true
let notResult = !(x == y); // true
// 할당 연산자
x += y; // x = x + y; => 15
// 문자열 연산자
let greeting = "Hello" + " " + "World!"; // "Hello World!"
#### 조건문
조건문은 특정 조건에 따라 다른 코드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합니다. 주요 조건문으로는 `if`, `else if`, `else`, `switch`가 있습니다.
let age = 20;
if (age < 18) {
console.log("미성년자입니다.");
} else if (age >= 18 && age < 65) {
console.log("성인입니다.");
} else {
console.log("노인입니다.");
}
let day = 3;
switch (day) {
case 1:
console.log("월요일");
break;
case 2:
console.log("화요일");
break;
case 3:
console.log("수요일");
break;
default:
console.log("주말");
}
#### 반복문
반복문은 특정 코드 블록을 여러 번 실행할 때 사용됩니다. 주요 반복문으로는 `for`, `while`, `do while`이 있습니다.
// for 문
for (let i = 0; i < 5; i++) {
console.log(i); // 0, 1, 2, 3, 4
}
// while 문
let i = 0;
while (i < 5) {
console.log(i); // 0, 1, 2, 3, 4
i++;
}
// do while 문
let j = 0;
do {
console.log(j); // 0, 1, 2, 3, 4
j++;
} while (j < 5);
이와 같이, JavaScript의 기본 문법을 이해하는 것은 더욱 복잡한 개념을 배우기 위한 기초가 됩니다. 다음 장에서는 함수와 관련된 내용을 다루어 보겠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