줌(ZOOM) 통계 사용 꿀팁! 영상, 오디오, 화면 공유 끊길 때 원인 파악하는 대처법!

줌(ZOOM) 통계의 유용한 기능을 소개합니다!


줌을 하다가 갑자기 영상이 끊기시나요? 
상대방의 목소리가 끊기면서 들리시나요? 
나의 목소리가 끊기면서 전달되나요? 
화면 공유된 내용이 끊기면서 보이나요?

그럴 때, 가장 먼저 파악해야 하는 점은 상대방의 기기가 문제인지, 나의 기기가 문제인지 입니다.

손쉽게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이 바로 줌의 "통계" 기능입니다!

그럼 이제부터 알아보겠습니다.

# 참고로 이 내용은 휴대폰이나 태블릿이 아닌 데스크탑이나 노트북에서 줌을 실행했을 때 적용되는 부분입니다.  휴대폰이나 태블릿에서는 통계 기능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1. 먼저 "설정"을 엽니다.  (설정을 여는 법을 알고 있다면 2번으로 바로 가시면 되세요)

설정을 열기 위해 줌 좌측 하단의 "비디오 중지" 버튼 오른쪽 상단 부분에 조그만 꺽쇠 모양의 버튼을 클릭한 후 "비디오 설정..."을 클릭합니다.





2. 설정이 열리면 좌측 항목에서 "통계" 를 클릭합니다.



3. 그러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날 거예요.

여기서 확인할 수 있는 점은 CPU 사용량메모리 사용량입니다.

CPU 항목의 "전체" 항목에서 막대바가 아래 사진처럼 파랑색으로 표시되며 대략 80프로 이하 정도이면 문제가 없습니다.  하지만 90프로 이상이면서 노랑색에서 빨강색으로 표기되면 CPU에 많은 부하가 걸리고 있다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줌을 돌리는데 컴퓨터의 CPU 사양이 낮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메모리 항목의 하단의 "전체" 부분에서 역시 막대바가 파랑색으로 표기되며 여유 공간이 있다면 괜찮은 겁니다.  그런데, 메모리가 부족하다면 노랑색 혹은 빨강색으로 표기되며 막대바가 거의 채워진 모습이 보이실 거예요.  그러면 컴퓨터의 메모리 사양이 낮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모두 파랑색으로 나왔다면 내 기기의 사양은 문제가 없는 것입니다.



4. 이번에는 "오디오" 항목을 선택합니다.  

주의하여 보실 부분은 마지막에 있는 "패킷 손실" 입니다.
아래 사진처럼 전송과 수신이 모두 0% 여야 합니다.

그런데 0이 아니라면 숫자가 높을수록 오디오 패킷이 많이 손실 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전송 부분에 손실이 있다면 내가 말하는 내용이 나의 인터넷 문제 혹은 컴퓨터 문제 때문에 상대방에게 정상 속도로 전달해 주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수신 부분에 손실이 있다면 상대가 말하는 내용을 나의 기기에서 정상적으로 받아주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3번 항목에서 설명한 것처럼 "전체" 부분에서 내 컴퓨터 사양에 문제가 없는데 전송에 문제가 있다면 대부분 내 컴퓨터에 연결된 인터넷 문제일 수 있습니다.

그럴 땐 인터넷 속도를 한 번 체크해 보시기 바랍니다.

인터네 속도를 체크하는 방법은 아래 링크를 클릭해서 살펴보세요.



만일, 패킷 손실이 0% 인데도 오디오가 끊긴다면 상대의 기기 혹은 상대의 기기와 연결된 인터넷의 문제입니다.




5. 이번에는 "비디오" 항목을 선택합니다.  

역시 마지막에 있는 "패킷 손실"을 확인해 보세요.
아래 사진처럼 전송과 수신이 모두 0% 여야 합니다.

0이 아니라면 숫자가 높을수록 비디오 패킷이 많이 손실 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전송 부분에 손실이 있다면 나의 영상이 나의 인터넷 문제 혹은 컴퓨터 문제 때문에 상대방에게 정상 속도로 전달해 주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수신 부분에 손실이 있다면 상대의 영상을 나의 기기에서 정상적으로 받아주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3번 항목에서 설명한 것처럼 "전체" 부분에서 내 컴퓨터 사양에 문제가 없는데 전송에 문제가 있다면 대부분 내 컴퓨터에 연결된 인터넷 문제일 수 있습니다.

그럴 땐 역시 아래 링크를 통해 인터넷 속도를 한 번 체크해 보시기 바랍니다.


만일, 패킷 손실이 0% 인데도 비디오가 끊긴다면 상대의 기기 혹은 상대의 기기와 연결된 인터넷의 문제입니다.


6. 이번에는 "화면 공유" 항목을 선택합니다.

화면 공유가 끊길 때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이 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역시 "패킷 손실" 부분을 유의해 보세요.  0%이어야 합니다.
아래 사진은 상대방이 화면 공유를 하고 있고 나는 그 화면을 보고 있을 때 나타나는 모습이므로 "수신" 항목만 표기됩니다.  만일 내가 화면 공유를 해서 상대방에게 보여주고 있다면 "전송" 항목들에 숫자가 표기될 거예요.

아무튼 패킷 손실 부분은 "전송"이든 "수신"이든 0% 여야 합니다.

만일 0이 아니고 숫자가 표기된다면 높을수록 손실이 많다는 즉 끊기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만일 수신 부분에서 손실이 있다면 화면 공유를 하는 사람의 기기는 문제 없는데 내 기기가 혹은 내 기기와 연결된 인터넷이 문제라는 뜻입니다.

만일 전송 부분에 손실이 있다면 화면 공유를 보고 있는 사람의 기기는 문제가 없는데 화면 공유를 하고 있는 사람의 기기가 혹은 그 기기와 연결된 인터넷에 문제가 있다는 의미입니다.

그럴 때 대처 방법은 역시 동일합니다. 문제가 있는 기기에서 "설정"-"통계"-"전체" 에서 CPU항목과 메모리 항목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막대 바가 빨강색으로 표기되지 않고 파랑색으로 표기되며 사양에 문제가 없다면 해당 기기와 연결된 인터넷이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역시 인터넷 속도를 체크해 봅니다.


만일, 패킷 손실이 0% 인데도 화면 공유가 끊긴다면 상대의 기기 혹은 상대의 기기와 연결된 인터넷의 문제입니다.



이렇게 줌을 할 때 끊김 현상이 있다면 먼저 원인부터 올바로 파악하고 대처할 수 있습니다.

이상 줌 통계 사용 꿀팁 이었습니다!

👍

댓글